Chapter 1 : Variables and Operators, Comments, and Functions.
개발환경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잠시 제 개발환경을 보여드릴까 합니다!
저는 아직 노트북이 없어서 아이패드로 코딩을 연습했는데요,
기초부터 배우고 나면 노트북을 구매할 예정입니다.
저는 아이패드로 코딩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구름 IDE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없이
웹에서 바로 개발환경을 구축할 수 있기도 하고
여러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 선택 할 수 있어서좋았습니다.
(어차피 기초만 배우면 노트북으로 넘어갈 예정이라 아무거나 해도 상관없었습니다..ㅎㅎ)
참고로 IDE는 통합개발환경을 뜻합니다.
제가 공부할 언어는 파이썬이고 열심히 공부해서
AI분야까지 공부하고싶네요 아직 까마득하지만 부지런히 공부하면 될거라고 믿어요.
출처
제가 이제부터 남길 내용은 유튜버 나도코딩님의 파이썬 기본편을 통해
공부한 내용들이며 앞으로 작성하는 대부분의 예제코드는
이 영상에 등장하고 제가 그 코드들을 조금씩 수정해서 올려두려고 합니다.
수정하면서 제가 맞게 이해했나 확인도 할 수 있거든요 ㅎㅎ
https://youtu.be/kWiCuklohdY
변수와 연산자
오늘 첫 번째로 기록할 내용은 변수와 연산자입니다.
(너무 기본적인 내용은 제외하기로 해서 변수부터 시작하네요)
변수는 쉽게 생각하면 ‘별명’ 또는 ‘이름’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내용을 변수에 저장해놓으면 손쉽게 불러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반에서 컵을 꺼내달라고 누군가에게 부탁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선반 : 물건을 얹어 두기 위하여 까치발을 받쳐서 벽에 달아 놓은 긴 널빤지. (네이버 어학사전)
컵 : 물이나 음료 따위를 따라 마시려고 만든 그릇. (네이버 어학사전)
“00야 물건을 얹어두기 위하여 까치발을 뻗어서 벽에 달아놓은 긴 널빤지에서 물이나 음료 따위를 따라 마시려고 만든 그릇좀 꺼내줄래?“
”00야 선반에서 컵좀 꺼내줄래?“
어떻게 말하는게 좋을까요?
당연히 아랫문장이 훨씬 편할 것입니다.
이렇게 긴 내용을 ‘선반’이라는 변수에, ‘컵’이라는 변수에 저장하면
다른 문장을 만들때도 간편하게 문장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엔 코딩에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Dev_sleep_soo 라는 변수에다가
“블로그 주인이자 it 비전공자이며 파이썬을 공부하는 20대 청년” 이라는 내용을 저장했습니다.
그럼 이제 이 내용을 사용하고 싶으면 Dev_sleep_soo를 사용하면 되는것입니다.
해당 내용을 print 해보겠습니다.
print는 어떠한 내용을 출력하는 함수인데요,
print(출력하고 싶은 내용) 이런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변수를 출력하니까 변수에 저장된 내용이 출력되었습니다.
이렇게 원하는 단어를 골라서 변수를 선언하고 그 변수에 저장하고 싶은 내용을 저장하면되는데
변수를 선언하는데 몇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 소문자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숫자, 그리고 언더바(_)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때, 대소문자는 따로 구분됩니다.)
-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ex) DEV = "바보“(o) , 1EV = "바보” (x)
- 띄어쓰기 불가능(단어를 구분하고 싶을땐 대소문자로 구분하거나 언더바를 사용합니다.( ex) MyLife, My_Life 등등)
- 예약어를 변수로 사용 불가 (이미 어떤 기능을 가진 단어를 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음은 연산자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그 연산자 맞습니다.
다만 프로그래밍이다보니 표현법은 조금 다르네요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 : 제곱
// : 몫 구하기
% : 값을 나눈 나머지 구하기
< : 오른쪽이 더 크다
<= : 오른쪽이 더 크거나 같다
> : 왼쪽이 더 크다
>= : 왼쪽이 더 크거나 같다
== : 같다
!= : 같지않다
+=, -=, /=, *= : 대입연산자
( ex) x += 5 / x = x+5 라는 뜻, x *= 5 / x = x*5 라는 뜻)
연산자는 간단하게 정리만 하고 나중에 필요할때 추가로 정리하겠습니다.
주석과 함수
주석은 주로 본인이 짠 코드가 어떤 의미인지 적어놓기 위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는 라인에 존재하지만 실행시켜도 아무런 역할이 되지 않는
투명인간 만들기(?) 기능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사용 방벙은 ‘’‘주석 내용’‘’ 또는 # 주석내용입니다.
함수는 파이썬 말고 다른 언어에서는 메서드 라고 불리는 것 같아요
함수는 뭐라고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어떤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코드의 집합이라고 보면 됩니다.
정말 많은 종류의 함수가 있지만 제가 오늘 배운 함수는 랜덤함수입니다.
랜덤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from random import *을 맨 윗줄에 선언해주어야 한답니다.
random이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어떤 기능들을 뽑아온다는 것 같은데 나중에 또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배운 랜던함수는 randint() 인데요
괄호안에 범위를 지정해주면 그 안에서 무작위로 한개의 숫자를 뽑아주는 것입니다.
위와 같이 범위를 설정하면 범위는 0~20이 되고
그 중 랜덤으로 뽑은 3이 출력되었네요.
오늘의 공부 기록은 여기까지!
다음 내용도 빠르게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꾸준히 공부하는 모습을 기대하며...Bye